1조원 짜리 앱 아이디어
실리콘밸리에서는 기업가치 1조원($1 Billion) 이상을 달성한 스타트업을 유니콘이라고 부른다. 인류의 보편성이 중요한 이유는 유니콘 스타트업들이 모두 이들 행동양식 중 반드시 하나 이상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기업가치 1조원($1 Billion) 이상을 달성한 스타트업을 유니콘이라고 부른다. 인류의 보편성이 중요한 이유는 유니콘 스타트업들이 모두 이들 행동양식 중 반드시 하나 이상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2년간 한중일의 인터넷 브라우저 점유율을 비교해 보았더니 한국은 전세계 추세와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중국과 일본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2년전과 지금은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마이크로소프트 IE(인터넷 익스플로러) 와 구글의 Chrome(크롬) 브라우저가 완전 역전된 모습이다. 일본은 아직까지 역전은 안되었지만 격차가 많이 줄어든 모습을 보이고있다. 반면에 대한민국만 전세계 […]
창조란 무엇인가? 창조란 남이 하지 못한 것을 하는 것이다. 아무도 가지 못한 길을 가는 것이다. 아무도 만들지 못한 것을 만드는 것이다. 아무도 생각 못 한 것을 생각하는 것이다.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하는 것이다. 지금과 다른 각도에서의 생각과 행동이 필수적이다. 이것이 창조의 본질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우 창조적이라고 생각한다. 유대인과 비교해도 앵글로색슨과 […]
다음 글 “하루는 길고 십 년은 짧다”는 Y Combinator 신임 사장 샘 알트만이 서른이 되면서 쓴 글인데 서른이라는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깊이가 있어서 천천히 읽으면서 곱씹을 필요가 있다. 폴 그레이엄이 샘 알트만에게 권좌를 넘긴 이유가 엿보이는 대목이라고 할까… 원문을 직접 읽기를 원하면 다음 링크를 사용하면 된다. 처음에는 번역을 직역해 보았으나 글을 다듬으면서 뜻의 전달을 위해서 […]
내 나이 50에 6백만 불의 사나이가 된 사유는 10년 전 경영하던 코스닥 기업을 상장 폐지하고 파산 면책을 받으면서 시작됐다. 파산 면책을 받을 당시에는 50억 원 규모였던 조세가 10년 동안 납세 체납으로 과태료가 더해져 60억 원 규모로 불어난 것이다. 나는 대한민국이 인정하는 고액 체납자다. 그래서 나는 이 금액을 미화로 전환해서 나를 6백만 불의 사나이로 부른다. 사실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