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은 금과 비슷하다. 금처럼 채굴되어야 세상에 나온다. 한번 채굴되면 6.25개의 비트코인이 생성되는데 이는 온전히 채굴자의 소유가 된다. 비로소 채굴자가 그 비트코인을 거래소에 내다 팔면 우리 같은 일반인이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이 얘기는 비트코인을 만든 이들이 비트코인을 설명한 것인데 사실은 주인 없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10분에 한 번씩 6.25개의 비트코인이 정기적으로 발행된다. 이렇게 발행된 코인은 추첨을 통하여 비트코인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나누어진다. 추첨 방식은 소프트웨어에서 무작위로 내놓는 난수 문제를 제일 신속히 풀어내는 한 사람에게 신규 발행한 코인이 모두 부여된다. 이 과정이 10분에 한 번씩 반복된다. 이 추첨 방식을 채굴이라고 부른다.
비트코인같이 중앙에 서버는 없고 분산된 단말만 있는 네트워크를 P2P (Peer-to-Peer)라고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유지되려면 중앙 주체는 없어도 몇 가지 분산 주체가 필요하다. 비트코인의 경우 다음 세 가지의 분산 주체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주체들이 없어지면 비트코인은 더는 운영되지 못하는 네트워크로 전락할 수 있다.
- 채굴자 —> 코인 발행
- 운영자 —> 풀노드(분산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제공
- 개발자 —>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그러므로 사실은 “주인은 없으나 주체는 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그리고 그 주체는 지금의 은행과 같은 중앙 주체가 아닌 개개인으로 이루어진 분산 주체이다. 그런데 대다수는 블록체인이 주체가 없는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이들이 모두 자발적으로 참여할 뿐 통제권을 행사하는 주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나? 이들 주체 중 한 주체인 채굴자가 신규 발행 코인의 전체를 독점하고 있다. 그럼 운영자와 개발자는 어떻게 버틸 수 있을까? 답은 아주 간단하게 “오랫동안 버틸 수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이런 징조는 여러 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첫째가 자신의 컴퓨터를 무상으로 24시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영자인 풀 노드의 감소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네트워크에서 사라지면 우리는 더는 거래 장부를 기록할 공간이 없어질 뿐 아니라 이들의 숫자만 적어져도 기록의 신뢰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치명상을 받을 수 있다. 비트코인은 중앙 서버가 없음으로 네트워크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분산 서버에 모든 거래의 기록을 한다. 그리고 이 기록들을 상호 비교하여 51% 이상의 합의를 이루면 진본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양질의 분산 서버는 필수적이다.
둘째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여 소프트웨어가 발전되고 유지되도록 노력하는 개발자들이 꾸준히 네트워크를 떠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현재 유용하게 사용 중인 앱의 개발자가 불의의 사고, 돈을 벌지 못하여 개발을 중단하게 된다면 어떻겠는가? 그로 인해 앱의 업데이트가 끊긴다면 여러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나은 앱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비트코인에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캐나다의 블록 스트림 사는 전 세계에 퍼져있는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들을 찾아내어 봉급을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다른 문제가 야기된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을 개발한 목적은 주인 없는 민간 화폐를 만들어 문제 많은 법정 화폐를 대체하는 데 있다. 그런데 사토시의 의도와 상관없이 전 세계 채굴 사업의 과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비트메인과 개발 사업을 독점하는 캐나다의 블록 스트림이 나타나서 비트코인을 사유화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떠나는 풀 노드들을 대체하기 위해서 서버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면 비트코인은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고 또 다른 리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리플은 탈중앙화와는 거리가 먼 중앙 집중화 암호화폐다.
만약 비트코인이 리플 같이 중앙 집중화된 암호화폐가 된다면 비트코인의 주인이 없다는 철학이 좋아서 그동안 힘을 보탰던 수많은 운영자와 개발자들이 모두 떠날 수도 있는 문제이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일반 사용자에게 외면당하게 되고 이어서 투자자에게도 외면받을 수 있는 문제이며, 이로 인하여 비트코인이 몰락하게 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Xank 프로젝트가 탄생했다. Xank 프로젝트는 별도의 포스트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